본문 바로가기
정보

당고의 유래와 종류

by hamdi 2023. 7. 11.

안녕하세요. 저는 오늘 옛 앨범을 정리하다가 몇 년 전 일본여행 중 찍은 당고사진을 발견했습니다.

아주 먹음직스러워 보이지 않나요? 사진만 그런 것이 아니라 실제로도 정말 맛있게 먹었습니다.

오늘은 이 당고의 유래와 종류를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1. 당고란

일본의 경단입니다. 곡물 가루를 물로 반죽해서 뭉친 뒤 찌거나 삶은 것을 일컫습니다.
콩고물을 묻히거나 간장, 혹은 단팥으로 맛을 내기도 하고, 그중에서도 꼬치로 꿰어서 만든 쿠시당고(串団子)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화과자를 가리키지만, 한국의 경단처럼 둥근 것을 일컫다 보니 고기로 만들면 '니쿠당고(肉団子)', 흙을 뭉치면 '츠치당고(土団子)' 등의 표현으로 쓰기도 합니다.
지금은 일본 국내에서 '당고'라는 이름이 널리 정착했지만, 지역에 따라 토호쿠 지방에서는 '단스(だんす)', 니이가타현에서는 '안부(あんぶ)', 시가현이나 시고쿠 지방에서는 '오마루(おまる)' 등 다른 호칭도 있다고 하네요.
오래전부터 일본에서는 야키당고(焼団子)나 당고지루(団子汁) 같은 형태로 주식의 대용품으로 먹어왔으며, 재료 역시 밥을 짓기 힘든 쇄미나 쭉정이, 잡곡으로는 보리, 밀, 밤, 수수, 기장, 메밀, 옥수수, 팥, 고구마, 상수리열매 등을 빻은 가루 등을 사용했습니다. 오늘날에도 지역에 따라 쌀 말고 밀가루나 녹말 등으로 만든 당고를 볼 수도 있습니다.
설탕으로 단맛을 낸 경우가 많지만, 원래는 보존식이다 보니 간장으로 양념하고 설탕을 넣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하네요. 또한 팥소나 미타라 시앙, 콩고물을 바르거나 단팥죽, 미츠마메 등을 넣어서 먹기도 한답니다.

 

2. 당고의 유래

야나기타 쿠니오의 신센(神饌)중 하나인 시토기(粢)를 둥글게 빚은 것이 원형이라고 합니다. 시토 기는 고대 일본의 쌀 취식법의 일종으로, 물에 담근 쌀을 원료로 삼아 다양한 형태로 굳힌 것을 일컫는다고 하네요. 열을 이용한 조리법이 아니라 곡물을 물에 담가서 부드럽게 한 뒤, 이렇게 일정한 형태로 만들어서 신전에 바친 시토기가 당고의 유래가 되는 것입니다. 저는 대한민국 사람이라 일본 단어들이 좀 어렵게 들리지만 당고의 시작이 꽤 오래전부터 이고 신성한 음식이나 간식정도로 여겨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무로마치 시대가 되면서 '당고'라 읽게 되었으며, 대나무 꼬치에 꽃은 것이 유통되기 시작했다. 우츠노야 고개의 토오당고(十団子)나 교토의 '미타라시당고(御手洗団子)'가 등장한 것도 이 시기라고 합니다. 에도 시대가 되면서 도시부나 길거리에 단맛을 낸 당고가 만들어졌으며, 서민들의 다과회나 행락에 내놓는 간식으로도 애용되었다고 하네요. 한 편 농촌부에서는 주식의 대용품이나 비상식으로서도 먹는 등 다른 의미를 갖기도 했다. 이 부분은 대한민국의 떡과 비슷한 의미인 것 같습니다.

 

3. 당고의 종류

1) 아와 당고

조가루로 만든 당고입니다.

 

2) 키비 당고

수수가루로 만든 당고입니다.

 

3) 쿠사 당고

쌀가루에 쑥을 섞어서 만든 당고입니다.

 

4) 쿠즈 당고

갈분으로 만든 당고입니다.

 

5) 츠키미 당고

팥소를 넣지 않은 맵쌀로 만든 당고이며 음력 8월 15일의 쥬우고야에 이 당고 15개를 신불에게 올리는 풍습이 있다고 하네요.

 

6) 이키나리 당고

원통형으로 자른 고구마와 팥소를 밀가루로 만든 피로 싼 후 쪄서 만든 당고입니다.

 

7) 코토토이 당고

쌀가루로 만든 당고를 팥소나 흰 팥소로 싼 당고입니다.

 

8) 사사 당고

찹쌀과 맵쌀 가루에 쑥을 섞고 팥소를 넣은 후 대나무 잎으로 싸서 찐 당고입니다.

 

9) 미타라시 당고

맵쌀로 만든 당고를 꼬치에 꿰서 가볍게 구운 후 간장과 설탕을 섞은 소스를 바른 당고입니다.

 

10) 이토키리 당고

가늘고 길게 성형한 당고를 실로 자른 것입니다.

 

이렇게 오늘은 당고의 유래와 당고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글을 적다 보니 당고가 너무 먹고 싶네요.

당고는 한국에서 먹는 것보다 일본 현지에서 먹는 게 훨씬 더 맛있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도 혹시 일본에 여행을 가게 된다면 당고를 꼭 한 번 먹어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나페의 유래와 종류  (0) 2023.07.14
녹차의 유래와 녹차의 종류  (0) 2023.07.12
냉면의 유래와 종류  (0) 2023.07.09
볶음밥의 유래와 볶음밥의 종류  (0) 2023.07.07
멍게의 효능과 멍게 먹는방법  (0) 2023.07.06